"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AWS가 처음 나왔을때를 생각 해 본다. 온프레미스 서버의 연장선이다. 아니다, 이건 혁신이다. 이렇게 두가지로 이야기가 나뉘었던거같다. 훅자의 의견을 가진 개발자들은 앞다투어 AWS를 공부했고, 활용했다. AWS는 혁신이었다. 그들이 제공해주는 서비스는 개발에만 집중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버튼 몇번으로 인스턴스가 늘어나고, 프로토타이핑한 코드를 바로 운영서버에 적용시켜보고, 등등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게 해줬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AWS의 유용한 기능 덕분에 개발자는 AWS를 공부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너무 유용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주었고, 그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개발자는 더이상 AWS를 공부 할 필요가 없어졌고, AWS는 DEVOPS 엔지니어, 인프라스트럭처 엔지니어같은 전문가들의 영역이 되었다.

 그런데 정말 개발자는 더이상 AWS를 공부 할 필요가 없어졌을까? 아니다. 개발자는 AWS가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정책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등의 세부사항은 알 필요가 없어졌지만 그래도 어떤기능을 제공하는지, 어떤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지 는 여전히 알고 있어야한다. 결국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하는것은 개발자의 일이기 때문이다. 내가 만들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AWS가 제공해주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결국 어떤 기능을 제공 해 주는지, 그 한계는 무엇인지 정도는 명확히 알고 있어야한다. 물론 설정은 전문가가 해주겠지만 말이다. 그런 점에서 업무에 바로 쓰는 AWS 입문은 개발자가 AWS를 공부할때 매우 적절한 도서이다. AWS가 제공 해 주는 기능들에 대한 설명도 충분히 들어있고, 직접 사용 해 보면서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일단 이 책을 읽어보게된다면 AWS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설계할 때 효율적이고, 수월하게 설계를 할 수 있을것이다.

국내에는 많은 AWS관련 서적이 나와있다. 대부분 내용은 대동소이하며 꼭 필요하고 중요한 내용으로 가득 차있다. 솔직한 말로 서점에서 AWS로 검색한 후 아무 책이나 보더라도 AWS를 공부하는 내용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무에 바로 쓰는 AWS입문'을 추천하는 이유가 있다. AWS는 매우 빠른 배포주기를 가지고 많은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서비스이다. 때문에 이왕 공부하기 위해선 가급적 최근에 출판된 책을 이용하는것이 유리하다. 또한, 대부분 AWS책은 실습을 도와주기 위한 service UI 캡처 화면이 제공되는데 이 UI도 제법 자주 변경되기 때문에 실습을 따라하는 입장에서 최근에 출판된 도서가 훨씬 편하다. 

이왕 AWS를 공부하거나 훑어볼 생각이라면 '업무에 바로 쓰는 AWS 입문'을 추천한다. 

반응형

Kotlin에서 Class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기본 요소입니다. Class는 데이터와 이를 다루는 함수들을 묶어서 캡슐화하고, 관련 있는 메서드와 속성을 함께 묶어서 구성합니다. 또한, Class를 통해 생성된 객체는 인스턴스라고 하며, 객체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Kotlin에서 Class를 선언할 때는 "class"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아래는 Kotlin에서 Class를 선언하는 예시입니다.

class Person {
    var name: String = ""
    var age: Int = 0

    fun sayHello() {
        println("Hello, my name is $name and I'm $age years old.")
    }
}

위 예시에서는 "Person"이라는 Class를 선언했으며, Class 내부에는 "name"과 "age"라는 변수와 "sayHello()"라는 함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Class를 사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또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상속을 통해 기존 Class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코드의 재활용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Kotlin에서는 Class를 선언할 때 추가적으로 상속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상속을 위해서는 콜론 ":"을 사용하며, 상속할 부모 Class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Person Class를 상속받는 Student Class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class Student : Person() {
    var grade: Int = 0
    var major: String = ""

    fun introduce() {
        println("I'm a student, my grade is $grade and my major is $major.")
    }
}

위 예시에서는 Person Class를 상속받는 Student Class를 선언했습니다. Student Class 내부에는 "grade"와 "major"라는 변수와 "introduce()"라는 함수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Kotlin에서는 Class를 사용하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한국의 핫한 IT 주제

한국의 IT 업계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주제들이 핫하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5G

5G 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5G는 이전 기술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속도를 제공합니다. 한국은 5G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여 현재 국내에서도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인공지능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의료, 교육, 보안 등의 분야에서 적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빅데이터는 매우 큰 양의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입니다. 빅데이터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를 이용해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기업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더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한국의 IT 업계에서 핫하게 떠오르는 주제를 알아보았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인터넷에서 찾아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