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 intellij(인텔리J) 에서 Junit사용해보기(설정편)


연결된 포스팅: ( Junit이란 . /  [Junit] intellij(인텔리J) 에서 Junit사용해보기(실행편))


1.프로젝트 생성


  create new project 클릭



java를 선택하고 next


next


적절한 프로젝트명을 작성하고  fnish




2. 테스트해볼 클래스 파일 생성 


src폴더 우클리 후 new / javaclass클릭 



적절한 클래스명을 입력 후 ok


3. 테스트 패키지 생성 


최상위 폴더에서 우클릭 , new / directory 클릭



적절한 디렉토리명 입력후 ok 


src폴더 우클릭 후 open module settings클릭


 아까만든 디렉토리(tests)클릭 후 상단의 초록색Tests클릭




4. 코드작성

자 이제 테스트를 위한 준비는 끝났습니다. 


코드를 작성해봅시다. 

아까 생성한 java파일에(JunitTest.java) 적으면 됩니다.

저는 이렇게 적어봤습니다. 


public class JunitTes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rivate float tall;

public JunitTest(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JunitTest(String name, int age){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JunitTest(String name, float tall){
this.name = name;
this.tall = tall;
}

public JunitTest(String name, int age, float tall){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tall = tall;
}

public String getName(){
return name;
}

public int getAge(){
return age;
}

public float getTall(){
return tall;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this.name = nam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public void setTall(float tall) {
this.tall = tall;
}

public void printInfo(){
System.out.println("name: " + name + ", age: " + String.valueOf(age) + ", tall:" + String.valueOf(tall));
}
}


5. 테스트파일 만들기


클래스명에 커서를 두면 좌측에 전구모양이 나옵니다. 

클릭을하면 아래와같이 3개의 메뉴가 나오는데 그중  Create Test를 클릭합니다.


클릭하며 ㄴ나오는 화면입니다. 테스트 라이브러리가 Groovy Junit으로 되어있는데 Junit4 로 바꿔주고 Fix를 눌러줍니다.

Fix는 해당 라리브러리를 프로젝트에 추가해주는 기능입니다.





최종적으로 이런 화면을 보신다면 테스트를 위한 준비는 끝났습니다. 




실제 테스트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과 함께 진행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J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nit] intellij(인텔리J) 에서 Junit사용해보기(실행편)  (4) 2016.12.20
[Junit] Junit이란  (0) 2016.12.19

[Junit] Junit이란


연결된 포스팅: ( [Junit] intellij(인텔리J) 에서 Junit사용해보기(설정편)    [Junit] intellij(인텔리J) 에서 Junit사용해보기(실행편))


1. Junit이란?


Junit은 단위테스트 도구 입니다. 외부 테스트 프로그램(케이스)를 작성하여 System.out으로 번거롭게 디버깅 하지 않아도 됩니다. 프로그램 테스트 시 걸릴 시간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오픈소스입니다. 어느정도 개발이 진행되면 프로그램에 대한 단위 테스트는 반드시 수행해야합니다. Junit은 보이지 않고 숨겨진 단위 테스트를 끌어내어 정형화시켜 단위테스트를 쉽게 해주는 테스트용 Framework입니다.

assertXX를 사용하여 Test를 진행합니다. Junit은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는 것 외에도 퇴적화된 코드를 유추해내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또한, 테스트 결과를 단순한 텍스트로 남기는 것이 아니라 Test클래스로 남기기 때문에 개발자에게 테스트 방법 밑 클래스의 History를 넘겨줄 수 도 있습니다. 


2.Junit의 특징

  a. 단위 테스트 Framework중 하나 

  b. 문자 혹은 GUI기반으로 실행된

  c. 단정문으로 테스트 케이스의 수행 결과를 판별함(assertEquals(예상값, 실제값)

  d. 어노테이션으로 갈결하게 지원함

  e. 결과는 성공(녹색), 실패(붉은색) 중 하나로 표시



3.TDD(Test Driven Develop)

참조

https://namu.wiki/w/%ED%85%8C%EC%8A%A4%ED%8A%B8%20%EC%A3%BC%EB%8F%84%20%EA%B0%9C%EB%B0%9C


개요 

테스트 주도 개발(Test Driven Development, TDD)은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의 실천 방안 중 하나이다. 개발이 이루어진 다음 그것이 계획대로 잘 완성되었는지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타 방식과는 달리,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한 다음 테스트 케이스에 맞추어 실제 개발 단계로 이행하는 개발방법론을 말한다.


장점

  • 코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프로그래밍 개발에서는 처음 개발할 때보다 이미 개발한 코드의 버그를 수정하고, 최적화하고, 새 기능을 추가할 때 비용이 더 들어간다. 그런데 테스트를 작성하면 코드에 절대로 뒤떨어지지 않는 문서가 탄생하며, 다른 코드의 행위가 보증되므로 원하는 부분에만 신경을 쓸 수 있으며,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는 자연히 품질이 높아지므로 다시 읽기도 편하다. 또한 테스트가 있으면 안심하고 코드를 리팩토링할 수 있다.

  • 프로그래밍 시간이 단축된다.
    테스트를 작성하는 시간을 포함시키고도 오히려 전체 작업 시간은 줄어든다. 왜냐하면 프로그래밍에서 대부분의 시간이 디버깅에 투입되는데, 테스팅은 디버깅을 해야 할 범위를 단위 안으로 제한함으로써 디버깅에 들어가는 노고를 크게 줄여준다. 또한 유지보수시에도 상술한 이유로 효율이 높아진다.



반응형

[IT 개발자 면접 대비문제] Spring의 원리



1. 스프링의 특징

 - 경랑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 있다.

 - POJO(Plain Old Java Object)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

   일반적인 J2EE프레임워크에 비해 구현을 위해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라리 등을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볍다.

 - 제어반전(IoC: Inversion of Control)을 지원한다.

    컨트롤의 제어권이 사용자가 아니라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스프링에서 사용자의 코드를 호출한다.

 -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을 지원한다.

   각각의 계층이나 서비스들 간에 의존성이 존재할 경우 프레임워크가 서로 연결시켜준다.

 -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 Aspect0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한다.

    따라서 트랜젝션이라 로깅, 보안과 같이 여러 몯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 영속성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iBatis나 Hibernate 등 이미 완성도가 높은 데이터베이스 처리 라이브러리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확장성이 뛰어나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통합하기 위해 간단하게 기존 라이브러리를 감싸는 정도로 스프링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라이브라리가 

   이미 스프링에서 지원되고 있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2. 스프링의 주요 모듈 

- 제어 반전 컨테이너 (IoC: Inversion of Control) 

    자바의 Reflection을 이용하여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의존성주입 (Dependency Injection)을 통해 각 계층이나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맞춰준다.

    이러한 기능들은 주로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XML파일에 의해 설정되고수행된다.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

    스프링은 로딩이나 보안, 트랜잭션 등 핵심적인 비지니스 로직과 관련이 없으나

    여러곳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기능등을 분리하여 개발하고 실행 시에 서로 조합할 수 있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을 지원한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력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인 AspectJ도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 자체적으로 자원하는 실행시(Runtime)에 조합하는 방식으로도 지원한다.


 - 데이터 액세스 프레임워크

    스프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자료를 저장 및 읽어오기 위한 여러 가지 유명한 라이브러리, 

    즉 JDBC, iBatis(MyBatis), Hivernate 등에 대한 지원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트랜잭션 관리 프레임워크

     스프링은 추상화된 트랜잭션 관리를 지원하며 XML 설정파일 등을 이용한 선언적인 방식 및 

     프로그래밍을 통한 박식을 모두 지원한다.


 - 모델 - 뷰 - 컨트롤러 패턴

    스프링은 웹 프로그래밍 개발 시 거의 표준적인 방식인 Spring MVC라 불리는 모델 - 뷰 - 컨트롤러(MVC)패턴을 사용한다.

    DispatcherServlet이 Controller 역할을 담당하여 각종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에 분산시켜주며 이를 각 서비스들이 

    처리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는 다양한 형식의 View 서비스들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 배치 프레임워크 

     스프링은 특정 시간대에 실행하거나 대용량의 자료를 처리하는데 쓰이는 일괄처리(Batch Processing)을 지원하는

      배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스프링의 배치는 Quartz 기반으로 작동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