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마리아db 실행
docker exec -it mariadb bash
**
docker exec -it [docker name] [실행시킬 툴]
**
참조 : happygrammer.github.io/docker/mariadb/
도커에 Mariadb 설치
happygrammer.github.io
docker 마리아db 실행
docker exec -it mariadb bash
**
docker exec -it [docker name] [실행시킬 툴]
**
참조 : happygrammer.github.io/docker/mariadb/
도커에 Mariadb 설치
happygrammer.github.io
깃허브에 저장소를 생성 후 로컬 프로젝트를 푸시하는 방법입니다.
깃허브에 레포지토리를 생성한다.
git bash / terminal 등을 연다.
푸시할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
디렉토리에서 깃 init실행
git init
첫 커밋을 위해서 git add .
git add .
첫 커밋 실행
git commit -m "initial commit"
생성된 깃 레포지토리의 url 복사
커맨드창에서 리모트 레포지터리 url추가
In the Command prompt, add the URL for the remote repository where your local repository will be pushed.
git remote add origin [remote repository URL]
git remote -v
푸시
git push -f origin master
[git] git 공식 튜토리얼 문서. 깃튜토리얼 (0) | 2015.03.21 |
---|
스프링부트를 코틀린 + 마리아디비 조합으로 사용하려고하는데 Mysql에 비해 MariaDB는 자료가 없어서 고생을했다.
특히 gradle보다는 maven자료가 훨씬 많아서 찾기가 어려웠다.
나는 아마도 다음에 이런 삽질을 또 할가능성이 크기때문에 여기에 남겨놓는다.
스프링 이니셜라이저에서 코틀린 / 웹 / JPA조합으로 생성했다.
실행해보니 오류가 발생해서 구글링 후 실행에 성공시켰다.
변경한 파일은 2개이다.
application.properties / build.gradle 두 파일이다.
먼저 build.gradle이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com.fasterxml.jackson.module:jackson-module-kotlin")
implementation("org.jetbrains.kotlin:kotlin-reflect")
implementation("org.jetbrains.kotlin:kotlin-stdlib-jdk8")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exclude(group = "org.junit.vintage", module = "junit-vintage-engine")
}
//이부분을 추가 {
implementation("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2.1.2")
// }
}
build.gradle 파일에 mariadb 클라이언트 추가 후 그래이들을 새로고침 해주고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수정해주면된다.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spring.datasource.url=jdbc:mariadb://localhost:3306/[DB명]?useUnicode=true&characterEncoding=utf-8
spring.datasource.username=[DB유저]
spring.datasource.password=[비밀번호]
spring.jpa.show-sql=true